BlockChain Economy Center


- R&R 핵심 전략 :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사회문제 해결기술 개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할 미래 인재 양성으로 국가의 혁신 성장 추동

- 광주과학기술원의 ABCD(인공지능, 블록체인,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R&D 역량 활용을 통해 차세대 포용 금융기술 개발

- 초저출산, 인구고령화 등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해 금융 빅데이터 구축, AI 및 빅데이터 기반 정책 결정추천 시스템 구축, ABCD기반 포용 시스템 개발 및 사업화, 지원정책 개발 및 창업 지원 등을 통해 과기특성화 대학의 글로벌 성공모델 입증

더 알아보기

세계적 추세


세계적인 미래학자인 돈 탭스콧, 탭스 콧그룹 최고경영자(CEO)는 인터넷이 지난 30~40년을 지배해온 것처럼 앞으로는 블록체인 혁명이 30년 이상 지배할 것이며, 차세대 핵심 기술로 모든 세상을 변화시킬 것이라 언급함. PDF 보기


더 알아보기

동향자료


BEC Newsletter
October

PDF 보기

BEC Newsletter
September

PDF 보기

BEC Newsletter
July

PDF 보기

BEC Newsletter
June

PDF 보기

ABCD Inclusive Finance 200819 한글판 논문

PDF 보기

ABCD (AI, Blockchain, Cloud, Data) 포용금융 기술 개발 (발표)

PDF 보기

ABCD 포용금융 연구개발 사업 (안)

PDF 보기

2020 한국금융미래포럼 요약자료

PDF 보기

4-5월1주 동향자료

PDF 보기

3-4월1주 동향자료

PDF 보기

Solutions


네트워크 Policy

기존의 블록체인 기반 화폐는 해킹의 위험, Denial of Service (DoS) Attack, 데이터 무결성 등에 관한 검증이 충분히 되어 있지 않음.


­ 블록체인 상에서 작동하는 해킹 모니터링 및 Cryptographical proof 와 Cryptanalysis를 통한 검증으로 해킹으로부터 안전한 블록체인 시스템을 설계 하고자 함.

Fingerprinting

비트코인의 각종 기술적인 한계가 이슈가 되고 있음. 첫째, 비트코인은 개인정보를 요구하지는 않지만 거래 내용이 공개되어 비트코인 주소의 소유자가 누군지 알면 추적이 가능하므로 기밀성을 제공해주지 못함. 둘째, 블록체인 자체는 보안성이 높지만 비트코인을 담고 있는 개인키를 도난당하거나 잃어버릴 경우 코인을 되찾을 수 있는 방법이 없음.


­ Mobile Fingerprinting기술을 활용하여 블록체인상 거래자의 익명성과 거래상대자 간 스마트 컨트렉트에 의한 새로운 거래 방식을 개발하고자함.

블록체인인터넷 연구

현재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과 같은 블록체인의 합의 프로토콜에는 규모(Scale)에 한계가 있음.


네트워크의 모든 단일 노드가 모든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전체 상태의 사본을 유지한다는 것은 탈중앙화라는 블록체인 고유의 특성으로부터 비롯됨. 탈중앙화된 합의 매커니즘은 내결함성, 강력한 보안성, 정치 중립성 및 신뢰성과 같은 중요한 이점을 제공하지만 확장성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음.


블록체인이 처리할 수 있는 트랜잭션 수는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단일 노드의 트랜잭션수를 초과할 수 없게 됨. 따라서 블록체인을 여러 개의 층위를 가진 복합 구조형으로 설계하여 규모를 크게 확장 할 수 있도록 설계 하고자 함.

블록체인 교육 허브

센터는 원내의 대학(원)생들을 위한 블록체인 기초 및 응용 교육을 수행하며 기술 연구 개발을 담당하여 세계 역량을 갖춘 전문가를 양성.


또한, 블록체인 연구 개발, 심화 교육을 수행하며 일반인과 전문가가 참여하여 블록체인 구현 및 운영에 필요한 전문가 양성 및 교류의 장을 마련.

ECCPoW

ECCPoW 기반 독립체 인들을 여러 계층으로 묶음

서로 다른 블록체인 연결해 다양한 기능과 역할 구현

Link

BEC Members


이흥노

BEC 센터장 /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

Dr. Le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Los Angeles, CA, USA, in 1993, 1994, and 1999, respectively.

탈중앙화를 위한 ECCPow, 거래보안성 향상을 위한 double-spending attack prediction 연구, Spectrometer, EEG/fNIRS Brain Monitoring system을 활용한 inteligent sensor system-based blockchain research


He was a Research Staff Member with HRL Laboratory, Malibu, CA, USA, from 1999 to 2002. He was then appointed as an Assistant Professor with the University of Pittsburgh, Pittsburgh, PA, USA, in 2002. In 2009, he joined the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GIST), Gwangju, South Korea, as an Associate Professor, where he was promoted to a Full Professor in 2013. He was the Director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computer science track with GIST in 2014, where he was appointed the Dean of Research in 2015. He has published over 40 international journal publications and 100 international conferences and workshop papers.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information theory, signal processing theory, and communications theory, and the application to wireless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systems, compressive sensing and optical engineering, biomedical systems, and brain computer interfaces.


Dr. Lee was a recipient of the Top 50 Research and Development Achievements of Fundamental Research in 2013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the Top 100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Research Award in 2012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and This Month Scientist/Engineer Award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in 2014. He has served as the Lead Guest Editor for the EURASIP Journal on Wireless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in 2010 and 2011, and has been an Area Editor for the AEU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s since 2013. He was the Chapter Chair for the IEEE Signal Processing Society with Pittsburgh, from 2005 to 2008. He has served as Secretary of the IEEE Gwangju Section in Gwangju, from 2010 to 2011. He has been the Chair of the IEEE Gwangju Section since 2012. He has served as a member of technical program committees for IEEE conferences, including the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and IEEE Globecom.


더 알아보기 »

이명은

대외협력팀장

정현준

박사급연구원


이승찬

박사급연구원

권효민

선임연구원

윤여원

Marketing 팀장


명예자문위원


김기선

광주과학기술원 총장 /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

디지털 통신이론


외부자문위원회


박광우

KAIST 금융전문대학원 원장

김형중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박수용

한국블록체인학회 회장 /

서강대 컴퓨터공학과 교수


이영환

㈜딜라이트체인 대표

정순형

㈜ 온더 대표.

정상호

㈜ 델리오 대표


장중혁

㈜ 아톰릭스컨설팅 이사

김종승

SK텔레콤 팀장

이정엽

블록체인법학회 회장 /

의정부지법 부장판사


오정근

한국 ict 융합협회 회장

구태언

법무법인 린 TEK&LAW 변호사


GIST 내부참여위원


김종원

인공지능 대학원장 / 교수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임혁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

네트워크 보안


김희삼

기초교육학부 교수

미시경제학

진규호

기초교육학부 교수

Strategic Management

김건우

기초교육학부 교수

법과 윤리


안창욱

인공지능 대학원 교수

컴퓨터비전, 로봇비전

전해곤

인공지능 대학원 교수

컴퓨터비전, 로봇비전

Contact Us


+(82) 02-523-2997

이명은
대외협력팀장
myungeunlee@gist.ac.kr

서울시 서초구 서초대로 396 강남빌딩 1503호 (강남역 8번 출구)